美연금 매년 531조원 증시로 … 주가 오르고 자산 늘어 '선순환'
젊을땐 기술주에 공격적 투자
나이들면 배당·가치주 갈아타
미국 DC형 퇴직연금인 401K
자산의 절반, 美주식으로 굴려
연평균 수익률 두자릿수 훌쩍
적립금 작년 7조달러에 육박
"미국에서 월급쟁이 생활을 하면서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은 꾸준히 주식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20대 초반부터 연금 투자를 한도에 맞춰 지속했다면 50대 중후반에 100만달러(약 13억3000만원)까지 불어날 겁니다."
미국 뉴욕 '금융의 심장' 월스트리트에서 일하는 마이클 코이 씨(37)는 매년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미국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리고 있다. 2020년 팬데믹 이후부터는 기술·성장주들의 기업가치가 뛰면서 기술주 펀드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코이 씨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같은 '매그니피센트7(M7)' 투자를 좋아한다"며 "최고 기업들에 연금자산을 투자하면서 함께 성장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예·적금에 연금자산이 묶인 한국과 다르게 미국 청년들은 연금자산을 기술주에 투자하는 게 흔하다. 공격적인 투자로 연금자산을 불린 후 중장년이 되면 가치주·배당주 비중을 늘리며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조정한다.
막대한 연금자산의 주식시장 유입은 수급상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주가가 오르면 연금 투자자들 계좌가 부유해지는 선순환 효과로도 이어진다.
이병선 모건스탠리 연금 디렉터는 "고령화로 공적연금 역할이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선 '자산 굴리기'를 통해 연금의 절대 규모를 늘려야 한다"며 "복리 효과에 가장 적합한 자산이 주식"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 TD코웬,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미국의 연금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를 꺼리지 않으면서 연평균 주식시장에 유입되는 연금자산은 4000억달러(약 531조68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코스피 시가총액의 4분의 1에 달하는 규모다. 특히 미국 DC형 제도인 401K에선 법적으로 주식 투자에 대한 비중 제한이 없어 투자자들이 타깃데이트펀드(TDF)를 통해 자유롭게 다양한 주식형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케빈 머피 프랭클린템플턴 미국투자전용부문 부사장은 "자본주의가 있는 한 결국 시장은 우상향한다"며 "개별주 투자는 장기적으로 위험하기 때문에 전문가 집단인 운용사가 제공하는 TDF 투자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게 낫다"고 밝혔다.
크리스 폴라드 TD코웬 매니징 디렉터는 "최근 주요 기술주들 성과가 좋았는데 퇴직연금 자금이 해당 주식들에 몰린 점도 주가 상승의 주요인"이라며 "연금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상품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인덱스 펀드로 기술주·가치주·배당주 분산 투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자산운용협회(ICI)와 노동부에 따르면 401K를 통해 주식에 투자되는 비중은 총 86%에 달한다. 미국 주식 47%, 주식·채권 혼합 28%, 글로벌 주식 11% 순이다. 주식형 자산 증가로 인해 401K의 평균 수익률은 2019년 20.1%, 2020년 14.1%에 달했다.
양호한 수익률은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로도 이어진다.
401K 적립금은 2000년 1조7380억달러에서 지난해 3분기 6조9350억달러로 늘었다. 401K 포트폴리오 중 주식형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뮤추얼펀드 비중도 1995년 2660억달러(30%)에서 지난해 3분기 4조3230억달러(62%)로 확대됐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금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연금 투자 상품으로 뱅가드의 기술주 펀드인 '뱅가드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인덱스 펀드(VITAX)'를 거론한다. 해당 펀드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브로드컴, 어도비, 세일즈포스를 비롯한 우량 기술주 300여 개를 담았다. 최근 1년과 5년 수익률이 각각 42%, 174%에 이른다.
미국 전문가들은 실질적으로 노후 보장이 가능한 퇴직연금 투자를 위해선 포트폴리오 내 주식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한다.
/ 차창희 기자
퇴직연금 85%, 예적금에 넣는 한국 물가도 못 따라가는 '쥐꼬리 수익률'
수익률 높인다며 도입했지만
디폴트옵션 상황도 마찬가지
초저위험 상품군에 89% 몰려
퇴직연금을 국민 노후자금뿐 아니라 증시 부양을 위한 마중물로 활용하는 미국과 달리 한국 근로자들이 굴리는 연금의 대부분은 예·적금 계좌에 사실상 방치돼 있다.
'연평균 1~2%에 불과한 퇴직연금 수익률을 개선하겠다'며 가입자가 적극적으로 연금을 굴릴 투자 상품을 고르게 하는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를 도입했는데도 불구하고 안전자산에만 집중되는 국내 퇴직연금의 고질병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디폴트옵션 상품에 가입한 퇴직연금 적립금액 12조5520억원 가운데 무려 89%인 11조2879억원이 '초저위험' 상품에 들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 상품과 이에 따른 리스크에 맞춰 초저위험·저위험·중위험·고위험 등 총 4개의 상품군 중에서 가장 낮은 위험군 상품에만 자금이 몰려 있는 것이다.
이는 적립금 중 무려 85%가 원리금 보장형에 묶여 있는 국내 전체 퇴직연금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디폴트옵션 초저위험 상품군은 원금이 보장되는 정기예금과 약속된 이율을 주는 보험사의 이율보증형 보험(GIC)으로 구성돼 있다. 예금 중심의 초저위험군에 돈이 몰려 있다 보니 적립금 규모 상위 10개 기관에는 1~5위를 포함해 무려 8개 은행이 들어가 있다. 안전자산에만 돈이 매몰돼 있다 보니 수익률도 저조하다. 정부가 발표한 디폴트옵션 전체 적립금의 1년 기준 수익률은 10.13%지만, 자금의 90%가 적립된 초저위험군은 수익률이 이것의 절반에 못 미치는 4.5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운용업계에선 그나마 지난해에는 고금리 상황이 계속되다 보니 초저위험군 수익률이 괜찮은 편이었지만, 올해 하반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발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또다시 급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실제 고용부에 따르면 국내 전체 퇴직연금 수익률은 최근 5년간 1~2%대를 벗어난 적이 없다. 2017년 1.88%, 2018년 1.0%를 거쳐 2020년에는 2.58%로 잠깐 반등했지만 이듬해 초저금리가 지속된 탓에 다시 2%로 떨어졌다. 이 중 원리금 보장형의 연간 수익률은 1.35%에 그쳤다.
장기로 운용하는 퇴직연금 특성을 고려한 5년과 10년간 연환산 수익률로 봐도 각각 1.96%, 2.39%로 올해 기획재정부가 예상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2.6%)보다 낮다.
최종진 미래에셋증권 연금본부장은 "선택 가능한 상품을 열거해놓고 그중에서만 고를 수 있는 국내 퇴직연금과 달리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고객을 기망하거나 위해하지 않는 상품이라면 투자가 가능하다"면서 "해외처럼 열거주의가 아닌 포괄주의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 김태성 기자
퇴직연금은 DB형(확정급여형)과 DC형(확정기여형)으로 나뉘는데 재무구조가 탄탄한 중견/대기업의 경우, 통상적으로 DB형으로 기본 셋팅되어 있다.
DB형 퇴직연금: Defined Benefit의 약자로, 근로자가 수령하는 퇴직금은 고정되어 있고, 회사가 퇴직금을 운용하는 제도다. 손해, 수익 모든 책임을 회사가 가져간다. 이 경우 퇴직금은 퇴직 직전 3개월 평균임금*근속년수로 책정된다.
DC형 퇴직연금: Defined Contribution의 약자로, 회사는 금융기관에 납입하는 역할만 담당하고, 퇴직금 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근로자 개인이 진다. 이 경우 회사의 연간 부담금은 연간 임금총액의 1/12로 책정된다.
DC형 퇴직연금을 운용한 300만원 월급 수령, 3년차 근로자가 받게 될 퇴직금은 300만 + (315만+운용수익/손실금) + (331만+운용수익/손실금)이 된다.
사람마다 유리한 케이스가 다를 수는 있지만 기사와 같이 DC형이 재테크에는 보다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DB형이 유리한 경우는 임금상승률이 높은 직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요즘은 그것도 옛말인 듯 하다. 미래를 위해 DC형 진지하게 고민해보자.
연금 관련 공기업에 다니는 사람을 만난 적이 있는데 그들은 어찌보면 능력있는 공무원이다. 부서이동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물론 개인고과를 중요시하는 일잘러, 똑쟁이들이 많겠지만 반대로 이정도만 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내 연금이 그런 사람들의 손에 달렸다고 생각하면 불안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개인들은 금융 리터러시를 키워야한다. 금융 전문가들은 존재하지만 전체적인 금융의 흐름을 읽을 줄 알아야 한다. 복잡한 세상. 현대인들은 해야할 것이 너무 많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뉴스] 경제수학, 코딩 알려주는 인도 유튜버 (2) | 2024.02.08 |
---|---|
[오늘의 뉴스] 위기의 고인물 롯데, 경영개선 시작하나 (4) | 2024.02.07 |
[오늘의 뉴스] K-푸드의 해외진출 (4) | 2024.02.06 |
[오늘의 뉴스]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2) | 2024.02.06 |